개인정보 정의 (1) 개념 - 개인정보란 본인의 의사에 반하거나 본인이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용될 경우 정보주체의 안녕과 이해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과 관련된 모든 정보로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. (2) 정의 - 개인정보는 해당 정보만으로 또는 다른 정보와 결합하여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다. (3) 법령상 정의(개인정보보호법) 2조 1항 : 개인정보란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정보를 말한다. 가목 :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/ 나목 : 다른 정보와 쉽게 결합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 / 다목 : 가명처리함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추가 정보의 사용·결합 없이는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정보(가명정보) (4) 해석 - 살아..
트랜잭션 1) 정의 [인데D]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DBMS가 가져야 하는 특성 2) 특성 [원일격영] 원자성, 일관성, 격리성, 영속성 3) 상태 [활부완실철] 활동 상태(Active), 부분 완료 상태(Partially Committed), 완료 상태(Committed), 실패 상태(Failed), 철회 상태(Aborted) 4) 제어 COMMIT : 트랜잭션을 메모리에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명령어 ROLLBACK : 트랜잭션 내역을 저장 무효화시키는 명령어 CHECKPOINT : ROLLBACK을 위한 시점을 지정하는 명령어 5) 병행 제어(일관성 주요 기법) 5-1) 개념 다수 사용자 환경에서 여러 트랜잭션을 수행할 때, 데이터베이스 일관성 유지를 위해 상호작용을 제어하..
구현 Q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5567 5567번: 결혼식 예제 1의 경우 2와 3은 상근이의 친구이다. 또, 3과 4는 친구이기 때문에, 4는 상근이의 친구의 친구이다. 5와 6은 친구도 아니고, 친구의 친구도 아니다. 따라서 2, 3, 4 3명의 친구를 결혼식에 초대 www.acmicpc.net A 구현이므로 문제에 잘 읽고 해당하는 코드만 짜면 되었다. 리스트를 여러 개로 나누는 것이 편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이었다. 나의 코드 n = int(input()) m = int(input()) friend = [] near = [] array = [0]*m for i in range(m):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a >= b: a..
데이터 모델 1) 정의 [현인컴추] 현실세계의 정보를 인간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상화하여 표현한 모델 2) 절차 [개논물] 개념적 데이터 모델, 논리적 데이터 모델, 물리적 데이터 모델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1) 정의 [업표형인] 업무의 모습을 모델링 표기법으로 형상화하여 인간이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프로세스 2) 종류 [관계네] 관계 데이터 모델 : 논리적 구조가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구성, 기본키와 외래키로 관계 표현, 1:1, 1:N, N:M 관계 표현 계층 데이터 모델 : 논리적 구조가 트리 형태로 구성, 상하관계 존재, 1:N만 허용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: 논리적 구조가 그래프 형태로 구성, COSDASYL DBTG 모델, N:M 관계 만족 3) 속성 [개속관] 개체 : 사물 또는 ..